가계부실위험지수(HDRI), 경제 용어01

가계부실위험지수(HDRI)

안녕하세요! 혹시 여러분은 가계부실위험지수라는 단어를 알고 계신가요? 뉴스에서 종종 나오는 단어인 가계부실위험지수는 단어 그대로 

"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"를 뜻합니다.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가계부실위험 지수는 자신의 집에서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"원리금 상환 비율"(DSR)과 자신의 집에서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자산 측면으로 평가하는 "부채/자산비율"(DTA)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 입니다. 

한마디로 정리하면

"빚 갚는 능력을 소득과 자산으로 평가하는지수"

 

이제 이 가계부실위험지수를 식으로 나타내볼까요?

원리금 상환비율(40%) + 부채/자산비율(100%) = 100

즉 원리금 상환비율이 40%고 부채/자산비율이 100% 일 때  100이라는 값이 설정 되어있습니다. 

(140%=100점)

 

원리금 상환 비율 (DSR)

다시 원리금 상환비율로 와볼까요?

원리금 상환 비율은 대출의 한도를 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데요. 

예를 들면 1년에 제가 1000만원을 벌고 1년간 내는 대출 상환액이 400만원이면 

이  때 원리금 상환비율은 40%가 되는겁니다.

 

이 때 40%가 적절하게 갚을 수 있는 능력이라 생각하고 그 이상으로 지출한다면

빚갚기 힘든 고DSR가구라고 표현합니다.

 

부채/자산비율 (DTA)

그럼 부채/자산비율은 

제 자산인 부동산이 10억이고, 빚도 10억이라면

그 때 부채/자산 비율은 100%입니다.

 

10억의 부동산을 팔게 된다면 빚 10억도 바로 갚기에 등가교환이 되어서 빚을 갚을 능력이 있다 말하지만

부동산보다 빚이 더 크면 빚을 갚기 힘들기에

고DTA가구라고 표현하죠.

 

-',정리,'-

DSR이든 DTA가 둘다 높아 100점이라는 점수가 넘어가면 "위험가구" 라고 표현합니다.

다만 이 가계부실위험지수는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없는가 취약성만 판단하는겁니다. 

그래서 이 가계부실위험지수는 어느 정도 위험성만 판단하고 정책을 결정하기 위해 판단되는 지표며,

경제정책을 판단하는 기구인 정부와,중앙은행 등이 경제의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죠!

 

앞으로도 

한국은행에서 만든 경제금융용어 700선을

더 쉽게 설명하겠습니다! 

좋은 하루 되세욤